728x90
4천 포트, 잘못 설계하면 관리 지옥이 된다
로즈마리 수경재배는 규모가 커질수록 설비의 중요성이 커집니다.
특히 NFT와 Kratky 방식은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운영 여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공간 설정 가정
- 규모: 실내 상가 60평 (198㎡)
- 재배대 배치: 3단 다단 선반 기준
- 1단당 포트 수: 약 330포트 (약 0.5평 당 55포트)
⚖️ NFT vs Kratky 방식 비교표
항목 | NFT 방식 | Kratky 방식 |
---|---|---|
작동 원리 | 양액을 순환시켜 뿌리에 공급 | 양액을 정체시켜 뿌리 일부 담금 |
양액통 구조 | 대형 탱크 1~2개 + 순환 펌프 | 포트 하단 수조 일체형 다수 필요 |
전기 사용 | 연속 펌프 작동 (10~12시간/일) | 무전력 (초기만 급수) |
관리 난이도 | EC·pH 자동 조절 용이 | 수위·온도·녹조 수동 체크 필요 |
대규모 확장성 | ★★★★☆ (모듈식 가능) | ★★☆☆☆ (통마다 분산) |
추천 조건 | 전기·자동화 가능 공간 | 무전력, 초기 저비용 공간 |
🔧 4,000포트 NFT 구성 예시
- 메인 양액통: 500L × 2개
- 순환펌프: 50W 저소음형 × 2대 (타이머 연동)
- 분배호스: ø15mm 주관 + 분기관 다수
- 배액구 배치: 각 선반별 배수구 연동
- 센서: pH / EC / 온도 / 수위 센서 연동
🧪 Kratky 방식 구성 예시
- 스티로폼 커버 수조: 60cm × 90cm × 높이 20cm
- 수조당 30~36포트 배치, 총 120개 이상 필요
- 초기 양액 채움 → 재보충은 2~3주 간격
- 환기·녹조 방지용 차광커버 필수
📐 설계 시 주의사항
- 다단 배치 시 LED 열기 상승 → 상부 온도차 생김
- 펌프 과열 대비 백업 회로 설치
- 수조형은 ‘바닥 불균형’으로 수위차 발생 가능
- Kratky는 고온기(>28℃)에 산소부족 주의
🧠 전략 선택 팁
- 초기비용 ↓ + 단기실험 → Kratky 추천
- 장기운영 + 자동제어 목표 → NFT 추천
🏁 결론: 방식이 아닌, 관리성·목표에 따라 선택하라
NFT든 Kratky든, 목표와 공간 조건에 맞게 구성하면
4,000포트 기준 연간 150~200kg 수확이 충분히 가능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양액 구성과 생육단계별 EC관리를 상세 실전 매뉴얼로 다룹니다!
📚 참고 자료: 스마트팜 빅데이터 API 명세서, 작물별도입기술서, 김한결 보고서, 헴님 요구사양 기준
728x90
'부동산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즈마리, 땅이 아니라 물에서 자라면 더 잘 자란다 (0) | 2025.07.19 |
---|---|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 (3) | 2025.07.19 |
수확만 하고 끝? 진짜 가치는 ‘처리 공정’에서 시작된다 (0) | 2025.07.19 |
캣닙 수경재배의 핵심, 양액 (0) | 2025.07.19 |
캣닙, 빛이 생명이다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