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농업 24

수경재배 배지 선택 가이드 - 코코피트 vs 펄라이트 vs 암면 성능 비교

목차수경재배 배지의 중요성3대 주요 배지 특성 분석물리적 특성 비교작물별 적합성 검증경제성과 환경 영향배지 선택 가이드라인자주 묻는 질문 (FAQ)수경재배 배지의 중요성수경재배 배지는 식물의 뿌리를 지지하고 물과 양분을 공급하는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 토양과 달리 자체적으로 영양분을 제공하지 않지만, 뿌리 환경을 최적화하여 식물 성장에 결정적 영향을 미칩니다.올바른 배지 선택은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좌우합니다.• 수분 보유력: 뿌리 주변 적절한 수분 공급• 통기성: 뿌리 호흡을 위한 산소 공급• 지지력: 식물체를 안정적으로 지탱• 화학적 안정성: pH와 EC 변화 최소화3대 주요 배지 특성 분석코코피트 (Coconut Coir)원료와 제조: 코코넛 껍질의 섬유질 부산물을 가공한 천연 유기 배지입니다.핵..

상추 수경재배 최적 조건 - 양액농도와 수확량 관계 분석

목차상추 수경재배의 특징최적 EC(전기전도도) 범위NPK 비율과 농도별 수확량 분석pH와 영양분 흡수 효율품종별 양액 반응 차이성장 단계별 양액 관리 전략자주 묻는 질문 (FAQ)상추 수경재배의 특징상추는 수경재배에 가장 적합한 작물 중 하나로, 토양재배 대비 월등한 장점을 보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경재배 상추는 기존 토양재배와 동등한 맛, 향, 질감, 외관 품질을 유지하면서도 연중 재배가 가능하며, 더 적은 공간에서 높은 수확량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1].수경재배 상추의 핵심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빠른 성장: 6-8주 내 수확 가능• 병해충 저항: 토양 매개 병원균 차단• 효율적 공간 활용: 뿌리 확장 공간 최소화• 안정적 품질: 환경 제어를 통한 일정한 품질 유지최적 EC(전기전도도) 범위연구..

수경재배 시스템 6가지 유형 완벽 분석 - 연구 데이터로 보는 효율성 비교

목차수경재배 시스템이란?6가지 주요 수경재배 시스템시스템별 효율성 비교 분석작물별 최적 시스템 선택 가이드초보자를 위한 시스템 선택 기준자주 묻는 질문 (FAQ)수경재배 시스템이란?**수경재배(Hydroponics)**는 토양 없이 영양분이 포함된 양액으로 식물을 기르는 혁신적인 재배 방법입니다. 연구에 따르면 수경재배는 기존 농업 대비 물 사용량을 90% 이상, 비료 사용량을 60% 이상 절약할 수 있습니다[1]. 국내 수경재배 현황을 살펴보면, 네덜란드와 유럽의 순환식 수경재배 시스템 보급률이 95% 이상인 반면, 국내는 5%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상황입니다[2]. 하지만 최근 환경 규제 강화와 경제성 향상으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6가지 주요 수경재배 시스템1. 심층수경재배 (DWC, Deep W..

캣닢이 뭔가요? 고양이만 좋아하는 게 아니에요

들어가며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캣닢 수경재배에 대한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캣닢이 도대체 뭔지"부터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캣닢을 단순히 "고양이가 좋아하는 풀" 정도로만 알고 계시는데, 사실은 훨씬 더 흥미로운 식물이랍니다.캣닢의 정체를 밝혀보자과학적 이름과 분류캣닢의 정식 학명은 Nepeta cataria입니다¹. 이 식물은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허브로, 민트과 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흥미롭게도 '네페타(Nepeta)'라는 이름은 고대 이탈리아의 '네페테(Nepete)'라는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거나 대량으로 자생했기 때문입니다. 원산지와 분포캣닢은 남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중국, 동유럽이 원산지이..

농업 2025.07.20

수경 설비 설계 – NFT vs Kratky 비교

4천 포트, 잘못 설계하면 관리 지옥이 된다로즈마리 수경재배는 규모가 커질수록 설비의 중요성이 커집니다.특히 NFT와 Kratky 방식은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운영 여건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공간 설정 가정 규모: 실내 상가 60평 (198㎡) 재배대 배치: 3단 다단 선반 기준 1단당 포트 수: 약 330포트 (약 0.5평 당 55포트)⚖️ NFT vs Kratky 방식 비교표 항목NFT 방식Kratky 방식 작동 원리 양액을 순환시켜 뿌리에 공급 양액을 정체시켜 뿌리 일부 담금 양액통 구조 대형 탱크 1~2개 + 순환 펌프 포트 하단 수조 일체형 다수 필요 전기 ..

농업 2025.07.19

로즈마리, 땅이 아니라 물에서 자라면 더 잘 자란다

로즈마리, 땅이 아니라 물에서 자라면 더 잘 자란다로즈마리는 지중해성 허브로, 통풍 잘 되고 배수가 빠른 환경을 좋아합니다.하지만 토양에서 키울 경우 과습, 염류장해, 병충해에 취약하고 계절 변화에도 민감합니다.이런 단점을 완전히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바로 수경재배입니다.🌱 로즈마리 수경재배의 핵심 장점 항목토양재배수경재배 성장 속도 느림 (2~3개월) 빠름 (1개월 내 유묘 이식 가능) 정유 함량 계절 영향 큼 광량·EC로 안정 제어 가능 병충해 뿌리썩음병, 응애 발생 잦음 물리적 차단 가능 수확 가능 횟수 연 1~2회 연 4..

농업 2025.07.19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캣닙 수경재배의 목적은 귀여운 잎이 아닙니다.생잎, 건엽, 정유 중 어떤 방식으로 가공·판매하느냐에 따라 수익 구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이번 편에서는 실제 시세 및 단가를 기반으로 3가지 모델을 비교합니다.🌱 모델① 생잎 판매 – 신선한 매력, 짧은 유통 주 타깃: 반려동물 카페, 수의사, 고양이 보호소 포장 방식: 10g 투명 파우치 or 플라스틱컵 보관: 냉장 필수 (유통기한 2~3일) 판매 단위도매가소매가 10g2,000원4,000~5,000원 30g5,000원9,000~11,000원 장점: 초기에 수익 회수 빠름 / 단점: 재고 부담, 배송 리스크🍃 모델② 건엽 판매 – 향 안정화 + 장기 유통 주 타깃: 온라인 스토어..

농업 2025.07.19

수확만 하고 끝? 진짜 가치는 ‘처리 공정’에서 시작된다

수확만 하고 끝? 진짜 가치는 ‘처리 공정’에서 시작된다캣닙 수경재배의 최종 목적은 정유 성분입니다.하지만 생잎 그대로 유통하거나, 잘못된 건조로 성분을 날리면? 노동과 시간이 전부 낭비됩니다.이번 편에서는 건조 조건, 건엽 관리, 정유 추출까지 캣닙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후처리 노하우를 모두 공개합니다.🌿 수확 타이밍: '정유 성분'을 기준으로 결정 햇빛 12~14시간 이상 유지 후 수확 시 정유함량 증가 수확 적기: 40~45일차 / 키 약 30~35cm / 하단잎 무성 아침 9~10시 수확이 이상적 (정유 성분 농도 최상)🌬️ 건조 방법: 저온·단시간이 핵심 항목추천 조건주의 사항 온도35~38℃40℃ 이상 시 정유 증발 습도40% 이하제습기 사용 권장 시..

농업 2025.07.19

캣닙 수경재배의 핵심, 양액

양액 없이는 수경도 없다! 캣닙 수경재배 양액 완전 해부수경재배에서 '양액'은 곧 토양을 대신하는 뿌리 환경입니다.캣닙처럼 향 성분이 중요한 작물은 생장률뿐 아니라 정유 품질도 양액 조성에 의해 결정됩니다.📌 캣닙 양액 관련 최신 연구 요약Rutgers University 연구팀은 CR3·CR9 품종 기준 다음과 같은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정유 성분(네페탈락톤) 함량은 질소·칼륨 비율에 크게 영향 EC가 1.5~1.8 mS/cm일 때, 수확량과 성분 균형 최적 지속 수확 시 칼슘 결핍 경향 → 보충 필요📊 캣닙 권장 양액 조성 (성장기 기준) 양분권장 농도 (ppm)비고 질소 (N)120~140잎 생장, 성분 합성 인 (P)30뿌리 형성, 대사촉진 칼륨 (K)18..

농업 2025.07.19

캣닙, 빛이 생명이다

캣닙, 빛이 생명이다캣닙의 향과 효능을 결정짓는 핵심은 바로 '광합성 효율'입니다.특히 수경재배에서는 태양광 대신 LED 조명을 통해 생장을 유도해야 하며, 정확한 파장, 세기, 시간 설정이 정유 성분 농도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캣닙이 좋아하는 빛은? 광포화점: 약 200~250 μmol·m-2·s-1 광주기: 12~16시간 연속 광합성 시 생장 촉진 색상 파장: 파랑(450nm) + 빨강(660nm) 혼합 빛이 이상적Tip: 광량이 너무 약하면 키만 자라고 정유 성분이 낮고, 너무 강하면 광해(stress)로 생장이 멈추거나 잎 끝이 탈 수 있습니다.💡 캣닙용 LED 조명 선택 기준 항목추천 사양설명 광량(PPFD) 200~250 μmol ..

농업 2025.07.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