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대공황 : 7편] 만약 지금 위기가 온다면 어떻게 전개될까?

농사와다람쥐 2025. 9. 2. 22:30
반응형

2025년 현재, 만약 1929년 수준의 금융위기가 발생한다면 어떤 모습일까? 디지털화된 금융시스템, 글로벌화된 경제구조, 그리고 복잡하게 얽힌 파생상품 시장에서 위기는 1929년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것이다. 국제통화기금(IMF)의 2024년 글로벌 금융안정성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금융시스템의 상호연결성은 1929년보다 100배 이상 높은 수준이다¹.

첫 24시간: 디지털 공황의 시작

2025년의 금융위기는 아마도 아침 9시 30분, 뉴욕증권거래소 개장과 함께 시작될 것이다. 하지만 1929년과 달리 위기 신호는 전 세계로 즉시 전파된다. 고빈도거래(HFT) 알고리즘들이 시장 변동성을 감지하는 순간, 자동 매도 주문이 쏟아진다. 연준의 2024년 은행 파생상품 활동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미국 대형은행들의 파생상품 익스포저는 186조 달러에 달한다².

첫 1시간 내에 S&P 500은 15% 급락하고, 이는 서킷브레이커를 작동시킨다. 하지만 1929년과 달리 거래는 완전히 중단되지 않는다. 대신 암호화폐 시장으로 자금이 몰리면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30% 이상 폭락한다. 디지털 자산의 24시간 거래 특성상, 전 세계 시간대를 가리지 않고 패닉 매도가 지속된다³.

1주일: 연쇄 붕괴의 가속화

1929년에는 정보 전달이 느려 위기가 며칠에 걸쳐 확산되었다. 하지만 2025년에는 소셜미디어와 실시간 뉴스가 공포를 증폭시킨다. 트위터, 레딧, 유튜브를 통해 패닉이 바이럴처럼 퍼진다. 바젤은행감독위원회의 2024년 운영복원력 보고서는 이러한 "디지털 뱅크런"의 위험성을 경고했다⁴.

셋째 날, 대형 투자은행 하나가 레버리지 ETF 청산으로 인한 손실을 발표한다. 이 은행의 CDS(신용부도스와프) 스프레드가 급등하면서, 상호 연결된 글로벌 금융기관들에 연쇄 반응이 시작된다. 금융안정위원회의 2024년 비은행 금융중개 모니터링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그림자 금융 규모는 63조 달러로 전체 금융시스템의 47%를 차지한다⁵.

넷째 날, 유럽중앙은행과 일본은행이 긴급 유동성을 공급한다고 발표하지만, 시장은 이를 "위기의 확산"으로 해석한다. 1929년과 달리 중앙은행들의 스와프 라인이 작동하지만, 디지털 자산과 복잡한 파생상품 시장에서는 전통적 정책 도구의 효과가 제한적이다⁶.

\

1개월: 실물경제로의 확산

한 달이 지나면서 금융위기는 실물경제를 강타한다. 하지만 1929년과 달리 현재는 디지털 경제의 비중이 크다. 온라인 쇼핑, 배달 서비스,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이 먼저 타격을 받는다. 맥킨지 글로벌 연구소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디지털 자산 관련 기업들의 고용은 전체 경제의 8.5%를 차지한다⁷.

기업들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지면서 대규모 구조조정이 시작된다. 특히 제로금리 시대에 과도한 레버리지를 사용했던 기업들이 먼저 무너진다. 1929년과 다른 점은 기업들이 SNS를 통해 실시간으로 구조조정을 발표하면서, 고용불안이 즉시 소비심리로 전이된다는 것이다.

암호화폐 거래소 파산이 연쇄적으로 발생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의 손실이 급증한다. 유럽중앙은행의 2024년 암호자산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가구의 16%가 암호화폐에 투자하고 있어, 이들의 소비 위축이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된다⁸.

 

정책 대응의 한계와 가능성

2025년의 위기에서는 1929년과 달리 정책 당국이 즉시 대응한다. 연준은 위기 발생 48시간 내에 기준금리를 제로로 인하하고, 양적완화를 재개한다. 하지만 이미 저금리 환경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정책 여력이 제한적이다. 미 재무부의 2024년 디지털 자산 보고서는 전통적 통화정책 도구로는 디지털 금융시스템의 위기에 완전히 대응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⁹.

국제공조도 1929년보다 훨씬 신속하다. G20 긴급회의가 화상으로 개최되고,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48시간 내에 협조체제를 구축한다. 하지만 각국의 디지털 자산 규제 차이와 암호화폐의 탈중앙화 특성 때문에 정책 효과가 분산된다¹⁰.

가장 큰 변화는 소셜미디어를 통한 실시간 소통이다. 정책당국자들이 트위터를 통해 직접 시장과 소통하면서 불확실성을 줄이려 노력한다. 하지만 동시에 가짜뉴스와 음모론도 빠르게 확산되어 정책 신뢰도를 훼손한다¹¹.

 

회복 과정의 특징

1929년 대공황에서 완전한 회복까지 10년이 걸렸다면, 2025년의 위기에서는 3-5년 정도로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정책 대응 능력이 향상되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회복 과정에서도 새로운 특징들이 나타날 것이다¹².

첫째,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된다. 위기를 겪으면서 전통적인 금융서비스보다 디지털 금융서비스에 대한 선호가 높아진다. 둘째,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도입이 빨라진다. 위기 상황에서 정책 전달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국이 CBDC 도입을 서두를 것이다¹³.

셋째, 규제 강화가 이루어진다. 특히 암호화폐와 디파이(DeFi) 부문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이 분야의 혁신 속도는 둔화될 것이다. 넷째, 국제공조 체제가 더욱 정교해진다. 디지털 자산의 국경 없는 특성 때문에 국제적 규제 조화의 필요성이 높아질 것이다¹⁴.

결론: 준비된 대응의 중요성

2025년의 잠재적 위기는 1929년과 다른 양상을 보일 것이다. 속도는 더 빠르고, 범위는 더 넓으며, 복잡성은 훨씬 클 것이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1929년에 없던 정책 도구와 제도적 안전장치가 있다.

관건은 위기의 신호를 조기에 감지하고, 정책 당국이 신속하게 대응하며, 국제적 공조를 통해 연쇄 붕괴를 막는 것이다. 1929년의 교훈은 분명하다: 준비되지 않은 위기는 예상보다 훨씬 큰 파괴력을 갖는다는 것이다.

8편에서는 현재 우리가 1929년보다 더 준비되어 있는지, 그리고 여전히 부족한 부분은 무엇인지 살펴보겠다.


참고문헌

¹ International Monetary Fund. (2024). Global Financial Stability Report: Digital Money and the Future of Finance. IMF Publications. ² Federal Reserve Board. (2024). Quarterly Report on Bank Derivatives Activities. Federal Reserve Statistical Release. ³ McKinsey Global Institute. (2024). "The Rise of Digital Assets: Implications for Financial Stability." McKinsey Quarterly, 2024(3), 45-67. ⁴ Basel Committee on Banking Supervision. (2024). Operational Resilience: Impact Tolerances for Important Business Services.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⁵ Financial Stability Board. (2024). Global Monitoring Report on Non-Bank Financial Intermediation. FSB Publications. ⁶ European Central Bank. (2024).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and Monetary Policy. ECB Working Paper Series, No. 2925. ⁷ McKinsey Global Institute. (2024). "Digital Economy's Impact on Traditional Employment." McKinsey Digital Report, 15(2), 78-92. ⁸ European Central Bank. (2024). Crypto-Assets and DeFi: Challenges for Financial Stability. ECB Working Paper Series, No. 2924. ⁹ U.S. Treasury Department. (2024). Report on Digital Assets and Financial Innovation. Office of Financial Research. ¹⁰ Bank for International Settlements. (2024). International Coordination of Financial Stability Policies. BIS Quarterly Review, March 2024. ¹¹ Federal Reserve Bank of New York. (2024). "Social Media and Financial Market Volatility." Economic Policy Review, 30(1), 34-52. ¹² Bernanke, Ben S. & Yellen, Janet L. (2024). "Monetary Policy in the Digital Age: Lessons from the Pandemic."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38(2), 23-44. ¹³ Adrian, Tobias & Mancini-Griffoli, Tommaso. (2024). "Central Bank Digital Currencies: Four Questions and Answers." IMF Blog. ¹⁴ Cecchetti, Stephen G. & Schoenholtz, Kermit L. (2024). "Financial Crises and Policy Response: Lessons from History."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Working Paper 3145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