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4편에서 살펴본 뉴딜 정책의 성과와 한계는 단순히 1930년대의 역사적 사건으로 끝나지 않았다. 대공황과 뉴딜은 현대 미국 경제 시스템의 DNA를 근본적으로 바꾸어놓았다. **베리 아이켄그린(Barry Eichengreen)**이 분석한 바와 같이, **"대공황은 20세기 자본주의의 분기점"**이었으며¹, 그 영향은 21세기인 지금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폴 크루그먼은 **"현대 거시경제학과 경제정책의 모든 틀이 대공황의 경험에서 나왔다"**고 평가했다².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확대, 사회보장제도, 금융 규제 체계, 정부의 경제적 역할에 대한 인식 전환 등은 모두 대공황의 직접적 산물이다. 이번 편에서는 대공황이 남긴 제도적 유산과 그것이 현재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해보자.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재편
대공황이 가져온 가장 근본적인 변화는 금융 시스템의 구조적 재편이었다. **1933년 글래스-스티걸법(Glass-Steagall Act)**을 통한 상업은행과 투자은행의 분리는 66년간 지속되어 1999년 그램-리치-블라일리법(Gramm-Leach-Bliley Act)으로 폐지될 때까지 미국 금융업의 근간이 되었다³.
연방예금보험공사(FDIC) 설립은 더욱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 1934년부터 현재까지 90년간 운영되면서 은행 예금자들의 신뢰를 보장하는 핵심 제도가 되었다. FDIC 보험 적용 예금은 1934년 2,500달러에서 2025년 현재 25만 달러까지 확대되었다⁴.
증권거래위원회(SEC) 설립도 마찬가지다. 1934년 설립 이후 현재까지 증권시장 규제의 중추로 기능하고 있다. 내부자 거래 금지, 공시 의무 강화, 회계 기준 통일 등 현재 증권시장의 기본 규칙들이 모두 이 시기에 확립되었다⁵.
**연방주택청(FHA)**과 연방주택대출은행위원회(FHLBB) 설립을 통한 주택 금융 시스템 구축도 중요한 유산이다. 30년 장기 고정금리 모기지라는 현재 미국 주택 금융의 표준이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⁶.
이러한 제도들은 **"금융 안정성의 삼각형(Financial Stability Triangle)"**을 구성했다. 예금보험을 통한 예금자 보호, 업무 분리를 통한 위험 격리, 규제 기관을 통한 감독 강화가 그것이다.
사회보장제도와 복지국가의 토대
1935년 사회보장법(Social Security Act) 제정은 미국 복지제도의 출발점이었다. 노령연금, 실업보험, 장애인 지원, 아동 지원을 포괄하는 이 제도는 현재까지 6,700만 명이 수혜받는 미국 최대 복지 프로그램으로 발전했다⁷.
사회보장세 수입은 2024년 기준 연간 1조 3,500억 달러에 달하며, 이는 **연방정부 총수입의 약 35%**를 차지한다⁸. 대공황 시절 "사회적 보험(Social Insurance)" 개념으로 시작된 이 제도는 현재 미국 경제의 핵심 구성요소가 되었다.
실업보험제도 역시 대공황의 직접적 산물이다. 1935년 연방-주 합동 프로그램으로 시작된 이 제도는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연간 6,0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되어 경제적 충격 완화의 핵심 역할을 했다⁹.
**메디케어(1965년)**와 메디케이드(1965년) 확립도 사회보장법의 연장선상에서 이해할 수 있다. 정부가 사회적 위험을 보장해야 한다는 뉴딜 시대의 철학이 의료 분야로 확장된 것이다¹⁰.
토마스 피케티는 이를 **"20세기 자본주의의 사회화(Socialization of Capitalism)"**라고 평가했다¹¹. 순수한 시장경제에서 **사회적 시장경제(Social Market Economy)**로의 전환이 대공황을 계기로 이루어진 것이다.
연방준비제도의 역할 확대와 통화정책 혁신
대공황은 연방준비제도의 역할을 근본적으로 재정의했다. **1935년 은행법(Banking Act of 1935)**을 통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공식화되었고, 연준의 독립성이 강화되었다¹².
고용안정화가 연준의 명시적 목표로 추가된 것은 1977년이지만, 그 철학적 토대는 대공황에서 나왔다. **"연준은 물가 안정뿐만 아니라 완전고용도 추구해야 한다"**는 이중 위임(Dual Mandate) 개념이 확립되었다¹³.
통화정책 도구의 혁신도 주목할 만하다. **공개시장조작(Open Market Operations)**이 주요 정책 수단으로 자리잡았고, 할인율 정책과 지급준비율 조정이 체계화되었다. 이는 현재까지도 연준 통화정책의 기본 틀을 이루고 있다¹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연준이 사용한 양적완화(Quantitative Easing)**도 대공황의 교훈에서 나온 것이다. 벤 버냉키 당시 연준 의장은 **"우리는 대공황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고 명시적으로 밝혔다¹⁵.
2020년 코로나19 대응에서도 연준은 무제한 양적완화, 기업채권 매입, 지방정부채권 매입 등 전례없는 정책을 시행했다. 이는 **"연준이 최후의 대출자(Lender of Last Resort)를 넘어서 최후의 시장조성자(Market Maker of Last Resort) 역할까지 수행"**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을 보여주었다¹⁶.
재정정책과 거시경제 관리의 제도화
대공황과 뉴딜은 재정정책에 대한 인식을 완전히 바꾸어놓았다. **균형재정 원칙에서 기능적 재정 원칙(Functional Finance)**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946년 고용법(Employment Act of 1946)**은 이러한 변화를 법제화했다. **"연방정부는 최대 고용, 생산, 구매력을 촉진할 책임이 있다"**고 명시함으로써 정부의 거시경제 관리 의무를 공식화했다¹⁷.
경제자문위원회(Council of Economic Advisers, CEA) 설립도 이 법의 산물이다. 대통령에게 전문적 경제 조언을 제공하는 이 기구는 경제정책의 과학화를 추진했다¹⁸.
**자동안정화장치(Automatic Stabilizers)**도 대공황의 교훈에서 나왔다. 누진세제, 실업보험, 사회보장급여 등이 경기 변동에 따라 자동으로 조절되어 경제 충격을 완화하는 메커니즘이 구축되었다¹⁹.
케인스주의 거시경제학의 정책적 적용도 뉴딜에서 시작되었다. **1960년대 케네디-존슨 행정부의 "뉴 이코노믹스"**와 적극적 재정정책은 뉴딜의 연장선상에 있었다²⁰.
노동관계와 사회적 대화의 제도화
**1935년 와그너법(Wagner Act)**을 통한 노동자 단결권 보장은 미국 노사관계의 기틀을 마련했다. 전국노동관계위원회(NLRB) 설립을 통해 노동분쟁 조정과 단체교섭 보장이 제도화되었다²¹.
노동조합 조직률은 1933년 11.5%에서 1945년 35.4%로 급증했다²². 이는 대공황과 뉴딜이 노동자들의 정치적 발언권을 크게 확대시켰음을 보여준다.
**1938년 공정노동기준법(Fair Labor Standards Act)**을 통한 연방 최저임금제 도입도 중요한 유산이다. 시간당 25센트로 시작된 최저임금은 현재 연방 최저임금 7.25달러로 발전했으며²³, 근로시간 제한과 초과근무수당 개념도 이때 확립되었다.
**트루먼 대통령 시절 1947년 태프트-하틀리법(Taft-Hartley Act)**을 통해 노동조합의 권한이 일부 제한되기는 했지만, 단체교섭과 노동3권의 기본 틀은 유지되었다²⁴.
유럽과 비교하면 미국의 노동운동은 상대적으로 약화되었지만, 대공황 시기 확립된 노동권 보장 원칙은 현재까지도 미국 노사관계의 기초가 되고 있다.
경제학 이론의 패러다임 전환
대공황은 경제학 이론 자체를 근본적으로 바꾸어놓았다. **고전파 경제학의 "보이지 않는 손"과 "세이의 법칙"**이 현실에서 작동하지 않음이 명확히 드러났다.
**케인스의 『고용, 이자 및 화폐의 일반이론』(1936년)**은 이러한 변화를 이론적으로 체계화했다. 총수요 부족, 유동성 함정, 승수효과 등의 개념이 경제학의 표준이 되었다²⁵.
폴 새뮤얼슨의 **『경제학』 교과서(1948년)**를 통해 케인스주의가 대학 교육과정에 정착했다. **"정부는 시장실패를 교정할 수 있고, 교정해야 한다"**는 인식이 일반화되었다²⁶.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의 분리도 이 시기에 이루어졌다. 국가 단위의 경제 관리가 중요해지면서 GDP, 인플레이션, 실업률 등 거시지표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²⁷.
1970년대 스태그플레이션으로 케인스주의가 도전받기는 했지만,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을 통한 경제 관리라는 기본 틀은 현재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국제 경제 질서의 재편
대공황은 국제 경제 질서의 재편도 가져왔다. **1930년 스무트-홀리 관세법(Smoot-Hawley Tariff Act)**으로 시작된 보호무역주의 확산이 대공황을 전 세계로 확산시켰다는 교훈에서 자유무역 체제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²⁸.
1944년 브레튼우즈 체제는 이러한 교훈의 산물이었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orld Bank), 관세무역일반협정(GATT) 등을 통한 국제 경제 협력 체계가 구축되었다²⁹.
달러 기축통화 체제도 대공황의 간접적 결과였다. 미국이 대공황을 상대적으로 잘 극복하고 2차 대전에서 승리함으로써 국제 경제의 패권국으로 부상했다³⁰.
무역 자유화와 다자주의라는 현재 국제경제 질서의 기본 원칙들이 모두 대공황의 보호무역주의에 대한 반성에서 나왔다는 점이 흥미롭다.
현대적 관점에서 본 대공황의 교훈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대공황의 교훈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벤 버냉키, 팀 가이트너, 헨리 폴슨 등 당시 정책 담당자들은 모두 **"대공황의 교훈"**을 정책 결정의 핵심 근거로 제시했다³¹.
신속한 금융기관 구제, 적극적 통화정책, 대규모 재정지출은 모두 **"1930년대의 실수를 반복하지 않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었다. 실제로 2008년 위기는 대공황보다 훨씬 빠르게 수습되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 대응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연준의 무제한 유동성 공급, 의회의 대규모 경기부양책, 사회안전망 확대는 모두 대공황과 뉴딜의 교훈을 현대적으로 적용한 것이었다³².
하지만 새로운 도전들도 나타나고 있다. 디지털 경제, 글로벌 공급망, 기후변화, 인구 고령화 등은 1930년대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문제들이다.
토마스 피케티는 **『21세기 자본』**에서 **"불평등 심화가 새로운 형태의 대공황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³³. 로버트 고든은 **『미국 성장의 흥망』**에서 **"혁신 속도 둔화가 장기 침체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지적했다³⁴.
제도적 유산의 지속성과 변화
대공황과 뉴딜이 만든 제도들의 지속성은 놀라울 정도다. 사회보장제도(90년), FDIC(91년), SEC(91년) 등 핵심 제도들이 거의 한 세기 동안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변화도 있었다. 1999년 글래스-스티걸법 폐지는 금융 겸업화를 허용했고, 이는 2008년 금융위기의 한 원인으로 지적되기도 했다³⁵.
**1996년 복지개혁법(Personal Responsibility and Work Opportunity Act)**은 복지 수급 조건을 강화하여 뉴딜 시대의 복지 철학을 일부 수정했다³⁶.
1970년대 이후 노동조합 조직률 지속적 하락도 주목할 변화다. **2024년 현재 민간부문 조직률은 6.1%**로 뉴딜 시대와는 크게 달라졌다³⁷.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경제 안정화에 주요 역할을 해야 한다"**는 기본 철학은 보수 공화당 정부에서도 유지되고 있다. 2008년 부시 행정부의 금융기관 구제, 2020년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 대응이 그 예다.
마치며: 역사의 메아리
대공황과 뉴딜이 남긴 가장 중요한 교훈은 **"제도의 중요성"**이다. 시장경제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적절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더글라스 노스의 신제도주의 경제학에서 강조하는 **"제도가 경제 성과를 결정한다"**는 명제를 대공황과 뉴딜이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³⁸.
현재 2025년의 관점에서 보면, 대공황의 교훈은 여전히 유효하다. 금융 안정성, 사회안전망, 거시경제 관리, 국제 협력의 중요성은 오히려 더 커지고 있다.
하지만 새로운 도전에 대응할 새로운 제도적 혁신도 필요하다. 디지털 경제 규제, 기후변화 대응, 불평등 해소, 글로벌 거버넌스 등은 21세기의 새로운 과제들이다.
6편부터는 1930년대의 교훈을 바탕으로 현재 2025년의 경제 상황을 분석해보자. 우리는 1929년의 신호들을 놓치고 있지는 않은가? 현재의 구조적 불균형은 과연 지속 가능한가?
다음 편 예고: 6편 "2025년, 우리가 놓치고 있는 신호들은?"에서는 현재 경제 상황을 1920년대와 비교 분석하며 잠재적 위험 요소들을 진단합니다.
참고문헌 및 인용출처
- Eichengreen, Barry. Golden Fetters: The Gold Standard and the Great Depress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 Krugman, Paul. The Return of Depression Economics. New York: W.W. Norton, 2009.
- Barth, James R., R. Dan Brumbaugh Jr., and James A. Wilcox. "The Repeal of Glass-Steagall and the Advent of Broad Banking."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4, no. 2 (2000): 191-204.
- Federal Deposit Insurance Corporation. Annual Report 2024. Washington, D.C.: FDIC, 2024.
-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SEC Historical Summary, 1934-2024. Washington, D.C.: SEC, 2024.
- Green, Richard K. and Susan M. Wachter. "The American Mortgage in Historical and International Context."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9, no. 4 (2005): 93-114.
-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Annual Statistical Report on the Social Security Disability Insurance Program, 2024. Baltimore: SSA, 2024.
- Congressional Budget Office. The Budget and Economic Outlook: 2024 to 2034. Washington, D.C.: CBO, 2024.
- U.S. Department of Labor. Unemployment Insurance Data Summary, 2020-2024. Washington, D.C.: DOL, 2024.
- Marmor, Theodore R. The Politics of Medicare. 2nd ed. New York: Aldine de Gruyter, 2000.
- Piketty, Thoma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 Meltzer, Allan H. A History of the Federal Reserve, Volume 1: 1913-1951.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3.
- Federal Reserve Board. Monetary Policy Report to the Congress. Washington, D.C.: Federal Reserve, February 2024.
- Friedman, Milton and Anna J. Schwartz. A Monetary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1867-1960.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3.
- Bernanke, Ben S. Essays on the Great Depress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 Federal Reserve Board. Financial Stability Report. Washington, D.C.: Federal Reserve, November 2024.
- Bailey, Stephen Kemp. Congress Makes a Law: The Story Behind the Employment Act of 1946.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50.
- Heller, Walter W. New Dimensions of Political Econom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 Auerbach, Alan J. and Daniel Feenberg. "The Significance of Federal Taxes as Automatic Stabilizers."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14, no. 3 (2000): 37-56.
- Okun, Arthur M. The Political Economy of Prosperity.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1970.
- Gross, James A. The Making of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 Albany: SUNY Press, 1974.
- Bureau of Labor Statistics. Union Members Summary. Washington, D.C.: BLS, January 2024.
- U.S. Department of Labor. History of Federal Minimum Wage Rates Under the Fair Labor Standards Act, 1938-2024. Washington, D.C.: DOL, 2024.
- Lee, R. Alton. Truman and Taft-Hartley: A Question of Mandate. Lexington: University of Kentucky Press, 1966.
- Keynes, John Maynard. The General Theory of Employment, Interest and Money. London: Macmillan, 1936.
- Samuelson, Paul A. Economics: An Introductory Analysis. New York: McGraw-Hill, 1948.
- Kuznets, Simon. National Income and Its Composition, 1919-1938. New York: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41.
- Kindleberger, Charles P. The World in Depression, 1929-1939.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3.
- Bordo, Michael D. and Barry Eichengreen. A Retrospective on the Bretton Woods System.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
- Eichengreen, Barry. Exorbitant Privilege: The Rise and Fall of the Dollar.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11.
- Bernanke, Ben S., Timothy F. Geithner, and Henry M. Paulson Jr. Firefighting: The Financial Crisis and Its Lessons. New York: Penguin Press, 2019.
- Yellen, Janet L. "The Federal Reserve's Monetary Policy Response to COVID-19." Brookings Papers on Economic Activity 2020, no. 2 (2020): 1-52.
- Piketty, Thomas. Capital in the Twenty-First Century.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014.
- Gordon, Robert J. The Rise and Fall of American Growth.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6.
- Stiglitz, Joseph E. "The Ruin of Rural America." Foreign Affairs 82, no. 4 (2003): 50-59.
- Haskins, Ron. Work Over Welfare: The Inside Story of the 1996 Welfare Reform Law. Washington, D.C.: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006.
- Bureau of Labor Statistics. Union Members Summary, 2024. Washington, D.C.: BLS, 2024.
- North, Douglass C. Institutions, Institutional Change and Economic Performan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