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오늘부터 캣닢 수경재배에 대한 시리즈를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첫 번째 글에서는 "캣닢이 도대체 뭔지"부터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캣닢을 단순히 "고양이가 좋아하는 풀" 정도로만 알고 계시는데, 사실은 훨씬 더 흥미로운 식물이랍니다.
캣닢의 정체를 밝혀보자
과학적 이름과 분류
캣닢의 정식 학명은 Nepeta cataria입니다¹. 이 식물은 꿀풀과(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허브로, 민트과 식물의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흥미롭게도 '네페타(Nepeta)'라는 이름은 고대 이탈리아의 '네페테(Nepete)'라는 도시 이름에서 따온 것으로, 이 지역에서 처음 발견되었거나 대량으로 자생했기 때문입니다.
원산지와 분포
캣닢은 남부 시베리아, 중앙아시아, 중국, 동유럽이 원산지이며, 현재는 유라시아, 북아메리카, 아프리카 등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로변이나 밭 가장자리, 개울가, 황무지 같은 교란된 지역에서 자주 발견됩니다.
캣닢의 외형적 특징
잎과 줄기
캣닢은 높이 3-4피트(약 90-120cm)까지 자라며, 연한 초록색의 부드러운 털이 있는 잎과 최대 5인치(약 12cm) 길이의 스파이크에 작은 라벤더색 꽃이 핍니다.
꽃과 씨앗
각 꽃은 4개의 씨앗이 들어있는 꼬투리를 만들며, 씨앗은 타원형이고 매끄러우며 적갈색이고 한쪽 끝에 2개의 흰 점이 있습니다.
왜 고양이가 좋아할까?
네페탈락톤의 비밀
고양이들이 캣닢에 보이는 반응은 '네페탈락톤(nepetalactone)'이라는 화합물 때문입니다. 고양이들은 캣닢 앞에서 냄새 맡기, 핥기, 씹기, 머리 흔들기, 턱과 뺨 문지르기, 몸 비비기와 구르기, 발로 치기, 긁기, 침 흘리기, 그루밍 등의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반응은 말초 니코틴성 수용체와 중추 무스카린성 콜린 수용체, 세로토닌성 경로를 포함한 다양한 신경전달물질 시스템의 영향을 받습니다.
모든 고양이가 반응하는 건 아니에요
모든 고양이가 캣닢에 반응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상염색체 우성 유전으로 추정됩니다. 약 3마리 중 2마리 정도의 고양이가 캣닢 섭취 후 졸림, 침 흘리기, 가르랑거리기 등의 부작용을 경험합니다.
사람에게도 유용한 캣닢
전통 의학에서의 사용
캣닢은 전통적으로 복통, 기침, 설사, 천식, 기관지염 치료에 사용되어 왔습니다. 또한 진정제와 수면제로도 활용되었습니다.
신선하거나 말린 캣닢 잎은 소스, 주스, 수프, 요리의 맛을 내는 데 사용되며, 팅크제, 우린 차, 찜질약으로도 활용됩니다.
현대적 활용
캣닢은 항산화, 항균, 진경제, 항우울 등 다양한 약리학적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습니다. 또한 모기나 파리 같은 곤충을 퇴치하는 효과도 있어서 천연 방충제로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캣닢을 키워야 하는 이유
환경적 장점
캣닢은 나비를 유인하는 식물이기도 하며, 향기로운 꽃을 피웁니다. 또한 벌, 나비, 새들을 끌어들이는 역할을 합니다.
재배의 용이성
캣닢은 거의 모든 토양에서 잘 자라지만, 적당히 비옥하고 배수가 잘 되는 양토에서 가장 잘 자랍니다. 햇빛이나 그늘에서도 잘 자라는 편입니다.
수경재배의 장점
왜 수경재배를 선택해야 할까?
캣닢의 향은 모래 토양이나 수경재배 방법으로 재배할 때 더욱 강해집니다. 이는 수경재배가 단순히 편의성뿐만 아니라 품질 향상에도 도움이 된다는 의미입니다.
수경재배의 주요 장점들:
- 더 강한 향: 고양이들이 더 좋아하는 품질
- 빠른 성장: 통제된 환경에서 최적화된 성장
- 연중 재배: 계절에 상관없이 재배 가능
- 공간 효율성: 실내에서도 쉽게 재배
- 해충 방지: 토양 매개 해충 걱정 없음
다음 글 예고
다음 글에서는 "수경재배가 뭔지 모르겠다면 여기서 시작하세요"라는 주제로 수경재배의 기본 원리와 흙 재배와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참고문헌
- Acimovic, M., Zeremski, T., Kiprovski, B., Brdar-Jokanovic, M., Popovic, V., Koren, A., & Sikora, V. (2021). Nepeta cataria - cultiv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ournal of Agronomy Technology Engineering Management, 4(4), 620-634.
- Hadi, M., Haghshenas, M., Tavassoli, A., & Hosseini, R. (2017). Cultivated and analysed biologically-active phenolics of twenty-nine germplasm accessions of Nepeta species. Research Journal of Pharmacognosy, 4(3), 45-53.
- Kumari, Y., Kaur, G., Kumar, R., Singh, S. K., Gulati, M., Khursheed, R., & Clarisse, A. (2022). Catnip (Nepeta cataria L.): Recent advances in pharmacognosy, cultiv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biological activity. Journal of Drug Delivery and Therapeutics, 12(4), 134-146.
'부동산 >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경 설비 설계 – NFT vs Kratky 비교 (0) | 2025.07.19 |
---|---|
로즈마리, 땅이 아니라 물에서 자라면 더 잘 자란다 (0) | 2025.07.19 |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 (3) | 2025.07.19 |
수확만 하고 끝? 진짜 가치는 ‘처리 공정’에서 시작된다 (0) | 2025.07.19 |
캣닙 수경재배의 핵심, 양액 (0) | 2025.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