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농업

캣닙, 빛이 생명이다

쇼핑과다람쥐 2025. 7. 19. 03:25
728x90

캣닙, 빛이 생명이다

캣닙의 향과 효능을 결정짓는 핵심은 바로 '광합성 효율'입니다.
특히 수경재배에서는 태양광 대신 LED 조명을 통해 생장을 유도해야 하며, 정확한 파장, 세기, 시간 설정이 정유 성분 농도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 캣닙이 좋아하는 빛은?

  • 광포화점: 약 200~250 μmol·m-2·s-1
  • 광주기: 12~16시간 연속 광합성 시 생장 촉진
  • 색상 파장: 파랑(450nm) + 빨강(660nm) 혼합 빛이 이상적

Tip: 광량이 너무 약하면 키만 자라고 정유 성분이 낮고, 너무 강하면 광해(stress)로 생장이 멈추거나 잎 끝이 탈 수 있습니다.

💡 캣닙용 LED 조명 선택 기준

항목 추천 사양 설명
광량(PPFD) 200~250 μmol 캣닙 광포화점 부합
파장 450nm + 660nm 청색 + 적색 혼합
CRI 80 이상 작업용 시야 확보
소비전력 20~40W / 층당 포트 수 기준 조정
조명각도 90~120도 균일한 광 분포

⚙️ 광 주기 자동화 예시

타이머 컨트롤러 또는 스마트 릴레이를 통해 자동 ON/OFF 스케줄 설정:

  • 🌞 08:00~20:00 – 조명 ON (12시간)
  • 🌙 20:00~08:00 – OFF (암기 유지)

⇒ 광주기 조절은 꽃대 형성 억제잎 중심 수확 유도에 중요

🧪 실제 연구 결과 요약

2023년 발표된 논문(Gomes et al., Rutgers Univ.)에 따르면, 캣닙의 네페탈락톤 함량은 광량과 광주기가 일정할 때 가장 안정화됩니다.

  • 적색광 단독: 줄기 신장 증가, 정유 성분 감소
  • 청+적 혼합광: 전체 생체량, 향기 성분 최적

🚨 주의 사항

  • 광원과 잎 사이 거리 20~30cm 유지
  • LED 온도 상승으로 인한 잎 탈색 방지 → 팬 필수
  • 광스트레스(잎 끝 갈변, 말림) 발견 시 광량 조절

🏁 결론: 정유 캣닙엔 '정확한 빛'이 필요하다

캣닙은 햇빛을 대체할 정밀한 광 제어가 필요합니다.
적절한 LED 조명, 광주기 조절, 광포화점 이해를 바탕으로 생산량과 품질 모두 잡는 스마트팜 캣닙 농장이 가능해집니다.

다음 편에서는 양액, pH, EC 등 ‘양분 관리 기술’에 대해 집중 탐구합니다!


📚 참고 문헌: fpls-14-1121582, Catnip_Nepeta_cataria_L_Recent_Advances_in_Pharmac.pdf, 스마트팜실습보고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