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농업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
쇼핑과다람쥐
2025. 7. 19. 03:52
728x90
캣닙을 키웠다면, 이젠 돈이 돼야 한다
캣닙 수경재배의 목적은 귀여운 잎이 아닙니다.
생잎, 건엽, 정유 중 어떤 방식으로 가공·판매하느냐에 따라 수익 구조는 완전히 달라집니다.
이번 편에서는 실제 시세 및 단가를 기반으로 3가지 모델을 비교합니다.
🌱 모델① 생잎 판매 – 신선한 매력, 짧은 유통
- 주 타깃: 반려동물 카페, 수의사, 고양이 보호소
- 포장 방식: 10g 투명 파우치 or 플라스틱컵
- 보관: 냉장 필수 (유통기한 2~3일)
판매 단위 | 도매가 | 소매가 |
---|---|---|
10g | 2,000원 | 4,000~5,000원 |
30g | 5,000원 | 9,000~11,000원 |
장점: 초기에 수익 회수 빠름 / 단점: 재고 부담, 배송 리스크
🍃 모델② 건엽 판매 – 향 안정화 + 장기 유통
- 주 타깃: 온라인 스토어, 캣닙볼 제조업체
- 포장: 은박지 지퍼백 / 진공 압축포장
- 보관: 상온 가능 (6개월~1년)
건조 중량 | 환산 생엽 | 판매가 |
---|---|---|
10g 건엽 | 약 100g 생엽 | 5,000~7,000원 |
30g 건엽 | 약 300g 생엽 | 13,000~16,000원 |
장점: 보관성 높음 / 단점: 건조 장비·공간 필요
🧪 모델③ 정유 판매 – 고수익·저물량 프리미엄
- 주 타깃: 기능성 화장품 업체, 아로마 브랜드, B2B
- 추출량: 건엽 1kg → 정유 3~7ml
- 보관: 냉암소 (갈색병 보관)
용량 | 희석 여부 | 판매가 |
---|---|---|
10ml | 100% 정유 | 15,000~30,000원 |
10ml | 5~10% 희석 | 8,000~12,000원 |
장점: 고부가가치, 브랜드화 가능 단점: 추출 장비·기술 필요, 수득률 낮음
💰 수익 모델 요약 비교표
구분 | 단가 | 유통기한 | 필요 장비 | 수익률 |
---|---|---|---|---|
생잎 | 4,000~5,000/10g | 2~3일 | 냉장 보관 | ★☆☆ |
건엽 | 5,000~7,000/10g | 6개월+ | 건조기 | ★★☆ |
정유 | 15,000~30,000/10ml | 1년+ | 추출기 | ★★★ |
📦 전략 제안: 생산량 & 자금에 따라 조합하라
- 소규모 시: 생잎 → 정기배송 구독모델
- 중규모 시: 건엽 → 캣닢볼 OEM 공급 + 온라인판매
- 대량 시: 정유 → 브랜드 런칭 + 위탁추출 + B2B 납품
🏁 결론: 캣닙은 어떻게 팔아도 이익이 된다, 단 ‘공정’이 전제되어야 한다
수확만 해놓고 창고에 쌓아두면 ‘농산물’에 불과합니다.
유통과 공정, 마케팅이 결합될 때비로소 캣닙은 고수익 작물로 거듭납니다.
다음 편에서는 정부지원금과 스마트팜 전략을 총정리합니다!
📚 참고 자료: 국내 온라인 시세(쿠팡, 스마트스토어), Rutgers 정유 수득률, 헴님 실측 생산비 기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