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농업
캣닙 수경재배, 스마트팜으로 자동화하자
쇼핑과다람쥐
2025. 7. 19. 03:15
728x90
캣닙 수경재배, 스마트팜으로 자동화하자
수경재배는 환경에 민감한 작물 재배에 이상적인 방식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직접 pH, EC, 온도, 조명을 매번 조절해야 한다면?
그건 '스마트'하지 않죠.
바로 이때 필요한 것이 스마트팜 시스템입니다. 센서와 자동제어 시스템을 이용해 24시간 정밀 환경 제어가 가능하며, 특히 정유 성분이 중요한 캣닙에게는 생육 성분의 일관성 유지에 매우 효과적입니다.
🔧 스마트팜, 어떻게 구성되나?
스마트팜은 크게 3가지 모듈로 구성됩니다:
- 환경센서 – 온도, 습도, CO₂, 조도, pH, EC 측정
- 제어시스템 – 펌프, 환풍기, LED, 양액 공급기 제어
- 모니터링/알림 – 스마트폰 앱 or PC로 실시간 제어/알림
📡 필요한 센서 목록
센서명 | 측정 항목 | 역할 |
---|---|---|
pH 센서 | 양액의 산도 | 뿌리 흡수 효율 유지 |
EC 센서 | 전기전도도(양분 농도) | 과영양/결핍 방지 |
온습도 센서 | 공기 온도/습도 | 병해충 예방, 성장 최적화 |
조도 센서 | 광량 | LED 세기 조절에 활용 |
수위 센서 | 양액통 수위 | 공급량 확인 및 경고 |
📲 제어 시스템 구성 예시
- 양액 공급기: 자동 주입, pH/EC 조절
- 환기팬/제습기: 고습 환경 방지
- LED 조명 컨트롤러: 광량·주기 자동 제어
- 타이머 릴레이: 시간 설정 기반 장비 제어
💡 캣닙 스마트팜 예시 시나리오
- 09:00 – 양액 자동 공급, EC 1.5로 조절
- 10:00~22:00 – LED 12시간 조명 유지
- 습도 80% 초과 시 – 자동 환기팬 작동
- pH 6.8 초과 시 – 산성 조정액 자동 투입
📈 실질적인 장점
- 정유 성분의 함량 균일도 향상
- 수확량 최대 20% 증가 (논문 기준)
- 노동력 40% 절감 – 매일 점검 없이도 자동 운영
🚨 스마트팜 구축 시 주의사항
- 인터넷과 전기 인프라 반드시 확보
- 비상 정전 대비 UPS 백업 또는 수동모드 준비
- 모듈 간 호환성 확인 (센서·컨트롤러 브랜드 주의)
🏁 결론: 수경재배 + 스마트팜 = 캣닙에 딱
캣닙의 생리활성 성분을 극대화하려면 **온도, 광, 양액**을 정밀 제어해야 합니다.
수경재배에 스마트팜을 접목하면 **작은 공간에서도 대량·고품질 캣닙** 생산이 가능합니다.
다음 편에서는 캣닙 생장을 위한 최적의 조명 환경, LED 광 조절법을 다루겠습니다.
📚 참고: '작물별 스마트농업 도입 설계와 현장적용기술.pdf', 김한결 스마트팜실습보고서, fpls-14-1121582
728x90